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로컬 NEWS
비로컬 특집/기획
월간 비로컬
로컬에서 길찾기
로컬의시대
로컬 리제너레이션
비로컬 포커스
로컬 탐방기
- 충북로컬크리에이터
로컬의 맛
로컬크리에이터.mp4
연재) 양화랑_이야기
연재) 워킹_로컬_워킹
연재) 멘토리칼럼
로컬아카이브
로컬 Players
로컬 Book&Magazine
비로컬CAMP 소식
로컬 행사리포트
(중기부)로컬에서다시찾은가치
통영 네트워킹모인데이
로컬 인사이트 트립 in 부산
로컬 인사이트 트립 in 경남
로컬 인사이트 트립 in 충주
인문학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
로컬 인사이트 트립 in 서울
로컬크리에이터 지원사업 출범식
새로운국면:로컬임팩트 lit2020
2019 로컬크리에이터페스타
로컬 NEWS
비로컬 특집/기획
월간 비로컬
로컬에서 길찾기
로컬의시대
로컬 리제너레이션
비로컬 포커스
로컬 탐방기
- 충북로컬크리에이터
로컬의 맛
로컬크리에이터.mp4
연재) 양화랑_이야기
연재) 워킹_로컬_워킹
연재) 멘토리칼럼
로컬아카이브
로컬 Players
로컬 Book&Magazine
비로컬CAMP 소식
로컬 행사리포트
(중기부)로컬에서다시찾은가치
통영 네트워킹모인데이
로컬 인사이트 트립 in 부산
로컬 인사이트 트립 in 경남
로컬 인사이트 트립 in 충주
인문학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
로컬 인사이트 트립 in 서울
로컬크리에이터 지원사업 출범식
새로운국면:로컬임팩트 lit2020
2019 로컬크리에이터페스타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로컬 NEWS
비로컬 특집/기획
비로컬 포커스
로컬아카이브
로컬 행사리포트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비로컬 특집/기획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10)] 주거지에서 성장한 문화예술공간, 홍대거리의 성장과 쇠퇴
홍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홍대 공간을 상업적이지 않은 순수한 예술가들의 경험을 담은 곳이자 한국의 인디 문화 발전 역사가 담긴 곳이라고 정의한다.홍대 공간은 각각의 인디음악을 라이브로 들을 수 있는 공간, 클럽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 예술 문화 공간, 다양한 카페가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현재 홍대는
beLocal
2020.08.30 23:34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9)] 대안문화의 상징적인 장소 ‘홍대’의 형성과정
홍대지역은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장소다. 그러다보니 홍대만의 문화적 특성을 지닌 많은 사람들이 방문한다. 걷고 싶은 거리, 피카소 거리, 클럽거리, 화방거리, 벽화거리 등 많은 이색골목들이 있어 항상 활기가 넘치고, 서울의 문화 예술을 선도하는 젊은이들의 명소이기도 하다. 이번 회에서는 홍대지역이 형성된 역사를 되짚
beLocal
2020.07.24 00:00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8)] 특색있는 예술의 거리 ‘홍대’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 공간은 주변 환경을 구성하는 단순한 물리적 조건만을 의지하지 않는다. 도시 공간의 형식과 규모와 구조는 어쩌면 그 자체가 우리의 삶의 내용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대학로에 이어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 잡기까지 홍대권역의 공간과 문화적 변화 과정 속으로 들어가보려고 한다.보통 ‘홍대’하면 떠오르
beLocal
2020.06.30 19:08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7)] 대학로 공연문화 활성화 방안
2004년 대학로가 문화지구로 선포된 후 15년 넘는 시간이 흘렀다. 장점이라면 공연장을 찾는 관객과 유동인구가 증가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대학로 지역의 상업화가 가속화되어 공연장 임대료의 상승이라는 문제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공연장 운영 주체의 영세성과 열악한 공연장 환경을 야기했다.수익을 내기 어려운 공연시장의 문
beLocal
2020.04.30 23:20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6)] 대학로 공연 생태계 구성
산업 클러스터란 어느 특정 분야에서 관련된 다양한 기업과 대학·연구소 등의 기관, 금융·법률·회계 등 지원 서비스 기업들이 네트워크를 이루고 시너지를 발휘하는 일정 지역을 말한다.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이유는 관련 기업과 기관들이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거래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다. 대면접촉을 통한 정보교류와 지식창출의 흐
beLocal
2020.03.31 23:15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5)] 1956년부터 64년을 이어온 대학로 "학림다방"
카페는 학문과 지식을 교류하는 아지트이자 역사를 품은 장소로 평가받는 가치를 지닌 공간이다. 세계를 돌아보면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카페들이 존재한다. 이탈리아 베네치아 산마르코 광장에는 무려 3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카페 이 있고,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1894년 오픈한 도 현재까지 운영하며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오래
beLocal
2020.03.20 11:30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4)] 문화지구로 지정된 대학로
‘문화지구’, ‘예술지구’라는 개념은 문화예술자원이 밀집되어 그 지역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과 다양한 가치를 창출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문화지구’, ‘예술지구’라는 개념은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사용되었다.초기에는 ‘인사동 열 두 가게 살리기 운동’으로 시작됐다. 개발논리에 의해 역사문화자원이 존폐위기에 처하자,
beLocal
2020.02.28 23:57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3)] 대학로 문화 시설의 입지 변화와 도시 영역확대
이번 회에서는 대학로가 서울의 대표적인 소비공간으로 변화하게 된 시점과 그 이후 변화된 대학로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서울대학교 이주 후 대학로는 국가정책에 의해서 계획적으로 구축된 서울의 대표적인 문화 예술 공간이 되었다. 특히 1985년은 정부가 대학로 적극적이고도 의도적인 공간 구축을 시행한 시기다.◇1975년: 마로니에 공
beLocal
2020.02.26 14:05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2)] 대학로에 남아있는 문화재
대학로를 형성한 동숭동에는 마로니에 공원을 중심으로 문예진흥원, 문예회관 등 각종 예술단체와 공연장, 화랑 등 문화시설이 밀집하며 예술과 문화의 거리가 형성됐다. 오늘날 우리나라 연극의 중심지로 불릴 만큼 크고 작은 극장들이 자리 잡고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문화를 영위하려는 사람들이 모이며 맛집도 즐비해졌고, 거리를 지나는
beLocal
2020.01.29 11:30
로컬 리제너레이션
[로컬 리제너레이션(1)] 대한민국의 예술·공연·자유·문화집결지 대학로
대한민국의 도시발전은 개발에서 재개발로, 이제는 도시재생이라는 포괄적 개념에서 바라보고 있다. 인구절벽과 더불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지방소멸, 공동화되어가는 원도심 문제... 문화적 도시재생이 도시재생의 핵심으로 떠오르며 해외 사례들을 우리 실정에 맞게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그런데, 해외 사례를 찾기에 앞서 대한민국은
beLocal
2020.01.14 23:00
1
내용
내용